
최근에는 큰 현장이 대폭 줄어드는 추세라 장비도 점점 작아지는 경향입니다. 하지만, 그래도 아직은 06급 굴착기가 범용 표준에 가깝다는 평을 받을 만하다 하겠습니다. 이에, 오늘은 06W 인양능력 및 굴착기 주요 브랜드별로 제원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 자리를 빌어 여러분들을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본 편은 중장비에 대한 첫번째 글이다 보니 잠시 제 개인 이야기를 먼저 한 다음 본 주제에 대해 말씀 드릴까 합니다. 저의 1990년대를 돌이켜보면 짠 바닷물과 함께 흙먼지, 모래 먼지를 먹어가며 생활했었던 기억이 가득합니다. 당시 군 전역 후, 해상 운송업 및 골재 사업을 하는 부친을 돕고자 현장에서 먹고 자면서 많은 중장비들을 접할 수 있었는데, 지금 돌이켜보면 그때는 젊은 패기로 정말 열정적으로 생활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당시를 떠올려보면 평균, 2,000~3,500루베(㎥)의 골재를 선적한 배가 한 달에 3~4회 입항했었는데 개인 부두가 아닌 공용부두인 관계로 부두에 쌓여있는 골재를 최대한 빨리 야적장으로 치워야만 했었습니다. 그래서, 배가 입항한 날은 밤낮 할 것 없이 덤프트럭과 굴착기, 페이로더들이 달라붙어 이송 작업을 했었는데, 육지에는 장비들과 덤프들이 줄지어 있고 해상에서는 셀그랩 크레인이 배 안의 골재를 밖으로 휙휙 던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현장은 그야말로 난리 통이었습니다. 게다가 우리 회사 선박이 아닌 다른 회사 선박이 들어온 경우라면 한시라도 빨리 그 선박을 내보내야 했었기에 현장의 장비들은 쉴 틈이 없었지요. 그러다 보니, 내구성 약한 장비들은 금방 퍼져버리는 상황이 잦았기에 자연스럽게 내구성 강한 장비들만 현장에 남아있고 내구성 약한 장비들은 자연스레 퇴출 되었습니다.
그 당시 제가 관리했었던 장비들을 가만히 떠올려보면,
– 1600t 급 바닷모래 채취선 : 해상용 골재 채취용 고압 펌프, 해상크레인 적재 선박
– 300톤급 워터탱크로리 선박
– 페이로더 : 삼성 LX352, 카와사키 外
– 굴삭기 : 현대 R3600LC-3, Gold Star – IHI 10, 삼성MX225 外
– 15t 트럭 : 현대 미쓰비시, 쌍용SY 外
– 바닷모래 세척 시스템 外
등으로 정리되는데, 제가 차주로써의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각종 장비들을 비교적 수월하게 운용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그때는 항상 일이 우선이라, 중장비 자격증에 대한 필요성을 거의 느끼지를 못했었는데요. 그러다 28년이 지난 2023년에 드디어 국비로 굴착기와 지게차 자격증을 땄습니다.ㅎㅎㅎ
앞서 다른 글에서도 언급했습니다만, 저는 자동차 정비사 이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그만큼 기계나 장비에 대한 관심이 좀 남다른 편이라 이곳 ‘와우굿럭’ 사이트와 ‘유튜브’를 통해 향후 다양한 기계나 장비에 대한 소개를 전문적으로 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아~ 이런, 서론이 좀 길었군요.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굴착기 시험장에는 06급 장비가 있습니다. 즉, 06급 장비가 중간급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물론, 최근에는 큰 현장이 대폭 줄어드는 추세라 장비도 점점 작아지는 경향이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아직은 범용 표준에 가깝다는 평을 받을 만 하다 하겠습니다. 이에, 오늘은 06w 인양능력 및 주요 브랜드별로 제원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는데, 특히 인양능력 또는 견인력의 경우, 크레인 및 지게차와 겹치는 영역이 되다보니 한때 시시비비가 되기도 했었지요. 그래서, 다시금 제원표를 통해 확인해 보자는 의미에서 다뤄봅니다.
♦브랜드별 제원 비교♦
볼보(VOLVO) EW150E |
HD현대건설기계 HW155A |
||
작동 중량 | 15.32톤 | 장비 중량 | 15.58톤 |
최대 토오크 | 62kgf·m/1,600rpm | 최대 토오크 | 76kgf·m/1,300rpm |
정격 출력 | 150ps/2,000rpm | 정격 출력 | 158ps/2,200rpm |
버켓 용량 | 0.57m³ | 버켓 용량 | 0.58m³ |
최대 인양능력 | 9,510 kg | 최대 견인력(인양능력) | 8,000 kgf |
전고 | 3.45m | 전고 | 3.48m |
최대 굴삭 반경 | 8,965mm | 최대 굴착 반경 | 7,605mm |
최대 굴삭 깊이 | 5,624mm | 최대 굴착 깊이 | 4,600mm |
버켓 굴삭력, ISO (일반) | 93.2kN(9.5kgf) | 최대 버켓 굴삭력 (ISO) | 11.4kgf |
버켓 굴삭력, ISO (승압) | 104.5kN(10.6kgf) | 최대 암 굴삭력 (ISO) | 8.5kgf |
최대 속도 | 37km/h | 최고 주행 속도 | 38km/h |
테일 선회 반경 | 2,290mm | 최소 작업 반경 | 2,310mm |
토출유압(작업/압력) | 330/370kgf/cm2 | 작업 압력 | 350kgf/cm2 |
펌프 토출 유량 | 2×164ℓ/분 | 펌프 토출 유량 | 2×124ℓ/분 |
연료 탱크 | 250ℓ | 연료 탱크 | 270ℓ |
유압 탱크 | 120ℓ | ||
요소수 탱크 | 25ℓ | 요소수 탱크 | 48ℓ |
*출처 | volvoce.com | *출처 | https://www.hd-hyundaice.com |
HD현대인프라코어 DX150W-7 |
캐터필라(CAT) M314F |
||
장비 중량 | 15.7톤 | 작동 중량 | 15.3~17.2톤 |
최대 토오크 | 60kgf·m/1,400rpm | 최대 토오크 | 57kgf·m/1,400rpm |
정격 출력 | 140ps/2,000rpm | 정격 출력 | 149ps/2,000rpm |
버켓 용량 | 0.59m³ | 버켓 용량 | 0.6 ~ 0.65m³ |
최대 견인력(인양능력) | 8,100 kgf | 최대 견인력(인양능력) | 7,300 kgf |
전고 | 3.93m | 전고 | 3.70m |
최대 굴착 반경 | 7,595mm | 최대 굴삭 반경 | 8,960mm |
최대 굴착 깊이 | 4,640mm | 최대 굴삭 깊이 | 5,490mm |
최대 버켓 굴삭력 (ISO) | 8.6kgf | 버켓 굴삭력, ISO (일반) | 10.5kgf |
최대 암 굴삭력 (ISO) | 7.4kgf | 스틱 굴삭력, ISO (승압) | 7.3kgf |
최고 주행 속도 | 37km/h | 최대 속도 | 37km/h |
최소 작업 반경 | 2,283mm | 테일 선회 반경 | 2,090mm |
작업 압력 | 370kgf/cm2 | 토출유압(작업/압력) | 375kgf/cm2 |
펌프 토출 유량 | 2×167ℓ/분 | 펌프 토출 유량 | 2×180ℓ/분 |
연료 탱크 | 280ℓ | 연료 탱크 | 250ℓ |
유압 탱크 | 140ℓ | 유압 탱크 | 89ℓ |
요소수 탱크 | 30ℓ | 요소수 탱크 | 19ℓ |
*출처 | asia.develon-ce.com | *출처 | catmachine.kr |
위 제원표에 명기된 내용 중에는 비슷한 06급 모델이라 해도 일부 내용에 대한 표현 방식이 조금씩 다르더군요. 그래서, 이를 다시 같은 용어로 통일해 보았습니다. 위 표에서 보셔서 아시겠습니다만 아주 큰 차이점은 찾기 어려운 듯합니다. 다만, 실제로 출고된 장비들을 자세히 보면 신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마감 부분이 다소 아쉬운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철판 보강에 관해서는 납득하기 어려운 (허접한?) 수준의 브랜드가 있기는 했었습니다. 추후, 기회가 닿는다면 06급 모델들을 보다 자세히 리뷰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문 : https://www.wowgoodluck.com/8l7w